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| 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1 | ||||||
| 2 | 3 | 4 | 5 | 6 | 7 | 8 |
| 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| 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| 23 | 24 | 25 | 26 | 27 | 28 | 29 |
| 30 |
Tags
- gdb tip
- 괌
- hostkeyalgorithms
- vi
- linux
- 인화여고
- whatis
- 꺠짐
- thread pid
- 리눅스
- host key
- 출력
- ubuntu
- kdumo
- 디버깅
- 칼국수
- ubuntu22.04
- vcore
- 노트북 정보
- 옛날 탕수육
- 새창에서 실행
- 다수 클라이언트
- spacse
- xshell4
- core file
- IPv6
- 괌여행
- Listen
- C
- 인천
Archives
- Today
- Total
극히 개인적이고 극히 대단하지 않은
IPv6 관련한 잡다한 내용 본문
1. IPv6 주소 생성하기
생성
/sbin/ip -6 addr add <ipv6address>/<prefixlength> dev <interface>
삭제
/sbin/ip -6 addr del <ipv6address>/<prefixlength> dev <interface>
2. IPv6 주소가 잘리지 않게 netstat 확인
/bin/netstat -ant

/bin/netstat -ant -T

<내용추가 :: 2021-08-25>
ubuntu에서는 -T 옵션이 없어졌다. 대신 -W 옵션을 사용하면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.
'20년차 개발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strace 로 프로세스 트레이스 할 때 출력문의 길이가 짧아서 곤란할 때. (0) | 2020.04.13 |
|---|---|
| Device type별 dmidecode (0) | 2020.03.11 |
| wireshark 에서 RTP와 SRTP의 구분 (IPv4, IPv6 혼용망) (0) | 2019.09.25 |
| vim에 함수를 만들어 사용하자. (0) | 2019.08.05 |
| localtime()을 localtime_r()로 바꿀 때 주의사항 (1) | 2019.05.20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