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출력
- xshell4
- 옛날 탕수육
- linux
- ubuntu
- thread pid
- 칼국수
- vi
- 꺠짐
- kdumo
- 노트북 정보
- 리눅스
- host key
- ubuntu22.04
- 노트북 배터리 교체
- gdb tip
- hostkeyalgorithms
- C
- spacse
- 다수 클라이언트
- vcore
- 괌여행
- IPv6
- core file
- 괌
- whatis
- 인화여고
- 인천
- Listen
- 디버깅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20년차 개발자 (17)
극히 개인적이고 극히 대단하지 않은
1 리눅스 시스템 명령어 중에 lsof라는 명령이 있다.시스템을 모니터링하다가 이상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, 현상의 원인을 알아내기 위해 사용하는 수십가지 기본 명령어들 중의 하나이며, 각 프로세스가 열고 있는 file descriptor를 파악할 수 있어 유용한 명령이다. 그런데, 여기에 출력되는 command가 기본적으로 9자 까지만 허용되어있다. 이 것이 일반적으로는 별다른 고난을 주지는 않지만, 우리 회사처럼 프로세스 이름의 작명에 철학을 가진 경우에는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. 우리회사는 개발한 프로세스의 이름을 '회사고유의 접두사'_'프로세스 서비스 분류'_'프로세스 고유명' 으로 정의하고 있다. 그러다보니, 프로세스명의 9자를 훨씬 넘어가는 것은 물론이고, 동일한 접두사와 동일한 분류를 가지는..
20년차 개발자
2019. 3. 20. 15:41